나. 팔괘의 수리(數理)와 자연물상(自然物象)
기본 팔괘는 1부터 8까지의 숫자에 배속됩니다.
또한 각 괘가 의미하는 고유한 자연의 물상이 배속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건(乾)괘는 1에 배속되며 천(天)이라는 물상 이름을 갖게됩니다.
필히 암송하며 외워야 합니다.
一乾天 일건천 (건괘는 1과 하늘에 배속된다)
二兌澤 이태택 (태괘는 2와 연못에 배속된다)
三離火 삼이화 (이괘는 3과 불에 배속된다)
四震雷 사진뢰 (진괘는 4와 우뢰에 배속된다)
五巽風 오손풍 (손괘는 5와 바람에 배속된다)
六坎水 육감수 (감괘는 6과 물에 배속된다)
七艮山 칠간산 (간괘는 7과 산에 배속된다)
八坤地 팔곤지 (곤괘는 8과 땅에 배속된다)
다. 기본 팔괘의 여러 가지 의미
팔괘는 물상이나 수리에 따라 배속되기도 하지만 각 기본 팔괘의 특징에 따라 성질이나 의미가 분류되기도 합니다. 팔괘의 의미를 다양하게 궁리하고 익히는 것은 후에 육효의 점괘를 판단하고 통변하는데에 많이 활용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모두 이해하기는 힘들지만 수시로 읽어보며 점검해야할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각 효의 위치와 구성을 보면서 궁리하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乾괘 - 하늘(陽)이 막힘없이 두루 통하는 상
지고하다. 강건하다. 의롭다. 아버지나 가장(家長)의 성질
震괘 - 땅(陰) 밑에서 우뢰(陽)가 움직여 오르는 상
일어난다. 치솟는다. 이끌어간다. 장남, 우두머리, 장년(長年)의 성질.
坎괘 - 땅(陰) 가운데로 물(陽)이 흐르는 상
험하다. 빠진다. 난처하다. 중남이나 청년의 성질.
艮괘 - 산(陽)이 땅(陰)을 끌어 올려 솟아나다가 그치는 상
그친다. 절제한다. 막힌다. 고뇌한다. 소남이나 청소년의 성질
坤괘 - 땅(陰)이 텅비고 벌려져 모든 것을 포용하는 상
유순하다. 인자하다. 어질다. 어머니나 신하의 성질
巽괘 - 땅(陰)위로 바람(陽)이 어루만지는 상. 많은 陽이 陰을 굴복시키는 상.
들어간다. 따른다. 감싼다. 복종한다. 장녀나 중년여인의 성질
離괘 - 물건(陰)이 하늘(陽)에 올라가는 상. 나무(陰)에 꽃(陽)이 피어나는 상.
붙는다. 드러난다. 밝아진다. 올라간다. 중녀, 새댁의 성질
兌괘 - 남자(양)위에 여자(음)이 올라가 있는 상.
들떠있다. 모인다. 기뻐한다. 소녀, 처녀의 성질
다음은 주역 설괘전에 나오는 팔괘의 배속입니다.
乾은 말, 坤은 소, 震은 용, 巽은 닭, 坎은 돼지, 離는 꿩, 艮은 개, 兌는 양이 된다.
乾은 머리, 坤은 배, 震은 발, 巽은 정강이, 坎은 귀, 離는 눈, 艮은 손, 兌는 입이 된다.
乾은 서북방 戌亥, 坤은 서남방 未申 , 震은 정동방 卯, 巽은 동남방 辰巳
坎은 정북방 子, 離는 정남방 午, 艮은 동북방 丑寅, 兌는 정서방 酉에 배속한다.
乾은 父, 坤은 母, 震은 長男, 巽은 長女, 坎은 中男, 離는 中女, 艮은 少男, 兌는 少女
乾은 1, 坤은 8, 震은 4, 巽은 5, 坎은 6, 離는 3, 艮은 7, 兌는 2 (선천수리)
乾은 6, 坤은 2, 震은 3, 巽은 4, 坎은 1, 離는 9, 艮은 8, 兌는 7, 중은 5 (후천수리)
한나라의 위백양이라는 사람은 팔괘의 모습을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이치로 설하였습니다.
즉
초승달의 모습은 震괘에 배속하며
상현달의 모습은 兌괘의 배속하며
보름달의 모습은 乾괘의 배속하며
하현달의 모습은 巽괘의 배속하며
그믐달의 모습은 艮괘의 배속하며
달이 없는 그믐의 모습은 坤괘에 배속하였습니다.
그리고 坎괘와 離괘는 음양을 조정하는 기본괘로 두었습니다.
또는 離괘는 별에 배속하고 坎괘는 우주공간에 배속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중국 후한의 상수역학자인 우번이라는 분의 팔괘에 대한 분류입니다. 깊이 궁리하면 기본 팔괘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乾괘>
敬(공경하다), 威(위엄있다), 嚴(엄하다), 生하다, 시작하다, 信(믿다), 愛(사랑하다),
忿(분노하다), 積善(적선하다), 好(좋아하다), 施(베풀다), 淸(제도하다), 治(다스리다)
大謀(크게 도모하다), 畏(두려워하다)
크다, 善(착하다), 良(좋다), 大(크다), 盈(가득차다), 肥(살찌다), 祥(상서롭다)
嘉(기쁘다), 利(이롭다), 老(오래되다), 古, 久, 높다, 朱(붉다)
道, 德(덕성), 性(성품), 宗(마루), 甲, 福祿(복록), 介福(큰복), 先, 知(지식), 百, 歲
王, 神, 人, 聖人, 賢人, 君子, 善人, 武人, 行人, 物, 遠(먼곳), 郊(교외), 野,
門 , 道門, 頂(정수리), 圭(모서리)
<坤괘>
致(맡긴다), 用(사용한다), 包(싼다), 至(닿다), 積(저축하다), 營(경작하다),
黙(침묵하다), 戀(사모하다), 閉(폐쇄하다), 欲(욕망하다), 怨(원망하다), 悔(후회하다)
安(안락하다), 康(편안하다), 富(부유하다), 緊(얽히다), 重(무게있다), 厚(두텁다),
寡(양이 적다), 徐(천천하다), 裕(느긋함), 虛(공허함), 영구하다, 가까이하다, 가깝다,
密(밀집하다), 過(과도하다), 害(해롭다), 冥(어둡다)
妣(죽은어미), 民(백성), 姓(성 씨 핏줄), 기초, 下, 禮(예의), 義(뜻), 事(일), 類(동류),
恩(은혜), 恥(수치), 終(종말), 死(죽음), 喪(상사), 殺(살), 喪期, 積戀, 夜(밤), 暑(더위)
庶政(서민정치) 大業(큰일)
刑人, 小人, 귀신, 鬼方, 自我, 자기자신, 몸,
丑(소), 누런소, 호랑이, 土, 田, 岳(큰산), 고을, 나라, 국가, 큰나라
재물, 책, 尺(자), 形(모양), 器(그릇), 輻(바퀴살), 乙, 年, 十年, 闔(문짝), 戶, 闔戶
<震괘>
行(행동하다), 征(정복하다), 出(나가다), 逐(쫓아가다), 作(짓다), 興(일어나다)
奔(달리다), 奔走(분주하다), 惊衛(량위- 경계하여 지키다), 講(풀이하다)
議(의논하다), 問(묻다), 語(말하다), 告(알리다), 응함, 교류함, 징계함, 반대함
生하다, 완만하다, 너그럽다, 樂(즐거움), 웃음, 큰웃음,
百(백), 言(말), 울림, 소리, 後, 世, 따름, 지킴, 좌측,
帝(임금), 主(주인), 諸侯, 人, 行人, 士(선비), 兄, 夫(지아비), 元夫(본남편),
언덕, 제사, 鬱(무성함), 풀숲, 백가지 곡식, 사슴, 광주리, 趾(발가락)
<坎괘>
꾀하다, 두려워하다, 의심하다, 불쌍히 여기다, 뉘우치다, 흐느껴 울다, 욕심내다,
능멸(모독하다), 모이다, 알아 익히다, 들어가다, 들이다, 나무를 뚫다
음탕하다, 어그러지다, 사납다, 虛하다, 미쁘다(믿을성 있다), 평평하다, 빽빽하다, 아름답다
뜻, 질병, 재앙, 파괴, 죄, 법, 법칙, 後, 三歲(삼년),
구름, 먹구름, 큰하천, 감옥, 毒, 경전, 볼기, 허리, 기름, 陰夜, 술, 귀신, 학교, 활, 화살
<艮괘>
愼(삼가하다), 순종하다, 기다리다, 執(잡다), 구하다, 穴居(은둔하다), 거하다,
碩(크다), 많다, 두텁다, 독실하다,
道, 시절, 종묘, 社稷(사직- 직장)
弟(아우), 小子(사내아이), 賢人, 아이, 아이종, 官(관청), 친구, 작은여우, 이리,
큰 과실, 城, 宮, 뜰, 여막, 창, 집, 별, 북두, 거품, 무릎, 등, 꼬리, 가죽
<巽괘>
命하다, 誥(알리다), 號(부르짖다), 隨(따르다), 商(장사하다), 處하다, 歸(돌아오다), 교류하다
利로움, 같음
白茅(백모-흰띠풀), 풀숲, 초목, 薪(섭-땔나무), 비단, 담장, 床, 뽕나무, 뱀, 물고기
<離괘>
날다, 잉태하다(번식), 見(보이다,나타나다),
黃(누르다), 밝다, 빛나다
甲, 갑옷, 칼, 도끼, 화살, 누런화살, 그물, 두루미, 새, 나는 새, 항아리, 병
<兌괘>
見(드러나다), 작다, 密(밀집하다),
친구, 형벌, 오른쪽, 적은 지식, 刑人
라. 사람과 팔괘의 성정
다음은 팔괘를 사람의 성정에 비교한 것입니다. 역시 팔괘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건괘는 강직하고 지고한 것을 좋아한다. 덕이 있고 위엄이 있다.
곤괘는 성정이 두텁고 무겁다. 말과 웃음이 적다. 관대하고 용납을 잘한다.
감괘는 심사가 굴곡되고 위태롭고 험한 위엄이 있다. 흉하면 교활하고 거짓된 마음이 심란 하며 매사 번복과 변화가 많다.
이괘는 명백하고 강렬하며, 솔직하고 절도가 있다. 무기력 하면 성정이 사납고 매사 용두사 미이다.
진괘는 뜻이 크고 말소리가 높고 명성을 향해 힘써 달린다. 흉하면 마음에 측량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일정하게 보는 것이 없으며, 마음은 급하고 일은 지체된다.
손괘는 성정이 화순하고 부드럽다. 겸손하게 낮추어 받드는 것을 좋아한다. 무기력하면 파도 를 따르고 흐름 만을 쫒는다.
간괘는 길하면 안정되고 지키고 보존한다. 흉한 즉 일이 퇴보하고 진전됨이 없다.
태괘는 성정이 즐겁게 화합하고, 여유롭게 말한다. 물건을 보면 유혹됨이 많고, 음악을 좋아 하고 술과 색정을 좋아한다. 무기력하면 노비와 같이 하천하다.
6) 64괘의 이름과 의미
육효를 자유자재로 통달하려면 결국은 주역의 64괘에 대한 이해가 대단히 중요한 관건이 됩니다. 주역 64괘 하나 하나의 괘상이 의미하는 괘사(卦辭- 괘풀이)의 뜻과, 각 괘의 여섯 효가 의미하는 효사(爻辭- 효풀이)의 뜻을 나름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나 저자는 주역의 괘사와 효사만을 아무리 섭렵한다해도, 괘상을 물리적이고 분석적으로 이해하는 상수학적 공부와 경험이 없으면 64괘의 체득이 좀처럼 쉽지 않다고 생각하며 육효의 분석적인 점학 공부가 결국은 주역의 완전한 체득을 향하는 공부에 일익을 담당하리라 확신합니다.
따라서 육효를 입문하는 분들은 우선 기초적인 주역 64괘의 이름만을 암기한 뒤에 육효점의 기초이론과 점법을 충분히 공부해가면서 차차로 64괘의 견실한 체득을 권하는 바입니다. 주역을 접하지 않으셨던 분들은 이 책의 맨 마지막 4장에 나와있는 64괘에 대한 간단한 의미와 괘상을 익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가. 육십사괘의 이름
64괘는 8개의 소성괘와 소성괘가 上下로 짝하여 이루어 집니다. 위에 있는 괘를 상괘(上卦) 혹은 외괘(外卦)라고 하며, 밑에 있는 괘는 하괘(下卦) 혹은 내괘(內卦)라고 합니다.
64괘에는 각각 고유한 64개의 이름이 붙습니다. 예를 들면 상괘에 건(乾)과, 하괘에 이(離)가 만나 면 동인(同人)이라는 이름이 붙게 됩니다. 또한 동인이라는 이름 앞에는 각각의 괘이름 대신에 물상이름을 덧붙여서 ‘천화동인’ 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즉 건괘의 물상인 `天`과 이괘의 물상인 `火`를 따서 `천화동인(天火同人)` 이라는 괘이름이 됩니다.
또한 상괘 하괘가 동일한 괘는 위(爲)나 중(重)을 넣어 부르게 됩니다. 즉 상하괘가 모두 乾괘로 중첩되면 `건위천(乾爲天)` 혹은 `중건천(重乾天)` 이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아래의 괘이름은 주역의 64괘 순서에 의하지 않고 육효점에서 쓰이는 8궁의 순서대로 배열한 것입니다. 주역의 원문의 순서에 의한 괘이름은 제 5장에 있는 서괘전 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한글과 한자를 따로이 적어서 암기에 편하도록 하였습니다. 다만 64괘 이름 중에는 한자의 음운이 한글로는 다르게 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괄호속에 다시 적어 넣었으며 외울 때 가급적 괘이름이 중복되지 않는 발음을 적었습니다. 필히 숙지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건위천 천풍구 천산준(둔) 천지부(비) 풍지관 산지박 화지진 화천대유
태위택 택수곤 택지췌 택산함 수산건 지산겸 뇌산소과 뇌택귀매
이위화 화산여 화풍정 화수미제 산수몽 풍수환 천수송 천화동인
진위뇌 뇌지예 뇌수해 뇌풍항 지풍승 수풍정 택풍대과 택뇌수
손위풍 풍천소축 풍화가인 풍뢰익 천뇌무망 화뢰서합 산뢰이 산풍고
감위수 수택절 수뢰둔 수화기제 택화혁 뇌화풍 지화명이 지수사
간위산 산화분(비) 산천대축 산택손 화택규 천택리 풍택중부 풍산점
곤위지 지뢰복 지택임 지천태 뇌천대장 택천쾌 수천수 수지비
乾爲天 天風姤 天山遯 天地否 風地觀 山地剝 火地晉 火天大有
兌爲澤 澤水困 澤地萃 澤山咸 水山蹇 地山謙 雷山小過 雷澤歸妹
離爲火 火山旅 火風鼎 火水未濟 山水蒙 風水渙 天水訟 天火同人
震爲雷 雷地豫 雷水解 雷風恒 地風升 水風井 澤風大過 澤雷隨
巽爲風 風天小畜 風火家人 風雷益 天雷无妄 火雷噬嗑 山雷頤 山風蠱
坎爲水 水澤節 水雷屯 水火旣濟 澤火革 雷火豐 地火明夷 地水師
艮爲山 山火賁 山天大畜 山澤損 火澤睽 天澤履 風澤中孚 風山漸
坤爲地 地雷復 地澤臨 地天泰 雷天大壯 澤天夬 水天需 水地比
7) 오행(五行)과 육십갑자(六十甲子)
육효점학은 주역의 육효와 오행이 접목된 학술이므로 입문자는 필히 오행의 기초 이론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여기서는 육효점에 사용되는 오행의 기초와 생극 이론에 대한 것을 요약해 봅니다.
가. 오행(五行)
음양의 기운은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네 계절로 나타나며 오행으로는 木,火,金,水로 배치됩니다. 그리고 순환기에 속하는 각각의 계절 사이에는 土가 배속됩니다.
木은 따스함과 생장을, 火는 더위와 확산을, 土는 중단과 변화를, 金은 서늘함과 견고함을, 水는 추위와 수축을 의미합니다.
나. 오행의 상생상극(五行 相生相剋)
상생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상극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다. 오행의 10천간 12지지의 배속
木 - 甲乙 寅卯
火 - 丙丁 巳午
土 - 戊己 辰戌丑未
金 - 庚辛 申酉
水 - 壬癸 亥子
라. 지지의 육합 육충 삼합 (六合 六冲 三合)
육합 - 子丑합 寅亥합 卯戌합 辰酉합 巳申합 午未합
육충 - 子午충 丑未충 寅申충 卯酉충 辰戌충 巳亥충
삼합 - 申子辰은 모여서 水국을 이루고
巳酉丑은 모여서 金국을 이루고
寅午戌은 모여서 火국을 이루고
亥卯未는 모여서 木국을 이룬다
마. 삼형(三刑) 육해(六害)
三刑 - 寅巳, 巳申, 丑戌未, 子卯, 辰午酉亥(自刑)
六害 - 子未, 丑午, 寅巳, 卯辰, 申亥, 酉戌
바. 육갑 순공망(六甲 旬空亡)
甲子순은 戌亥가 공망이며
甲寅순은 子丑이 공망이며
甲辰순은 寅卯가 공망이며
甲午순은 辰巳가 공망이며
甲申순은 午未가 공망이며
甲戌순은 申酉가 공망이다
사. 건록(建祿)과 양인(羊刃)과 역마(驛馬)
甲은 寅에 건록 卯에 양인
乙은 卯에 건록 辰에 양인
丙은 巳에 건록 午에 양인
丁은 午에 건록 未에 양인
戊는 巳에 건록 午에 양인
己는 午에 건록 未에 양인
庚은 申에 건록 酉에 양인
辛은 酉에 건록 戌에 양인
壬은 亥에 건록 子에 양인
癸는 子에 건록 丑에 양인
申子辰은 역마가 寅에 있으며
巳酉丑은 역마가 亥에 있으며
寅午戌은 역마가 申에 있으며
亥卯未는 역마가 巳에 있다.
아. 천을귀인(天乙貴人)
甲戊庚일은 丑未가
乙己일은 子申가
丙丁일은 亥酉가
壬癸일은 卯巳가
辛일은 午寅가 천을귀인이 됩니다.
8) 팔궁(八宮)과 64괘
주역의 64괘는 기본 팔괘를 모체로 하여 8개의 궁(宮)으로 각각 분류합니다. 육효점에서는 팔궁으로 분류한 64괘를 기준하여 육효점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가려내게 됩니다. 따라서 팔궁에 배치되는 64괘의 고유이름을 순서대로 암기해야 합니다.
팔궁은 각 기본 8괘를 수괘(首卦- 우두머리 괘)로 시작하여 나머지 7개씩의 괘가 배치됩니다. 그리고 각 8개의 궁마다 고유한 오행(五行)이 부여되는데 마치 8명의 부하를 거느린 8명의 장수들에게 부여되는 부대의 깃발과 같습니다. 이 木火土金水의 오행은 각 8궁을 대표하는 오행이 되며, 같은 궁에 소속된 괘들은 모두 같은 오행을 부여받게 됩니다.
乾궁은 양(陽)에 속하며 金이 부여됩니다.
兌궁은 음(陰)에 속하며 金이 부여됩니다
離궁은 음(陰)에 속하며 火가 부여됩니다
震궁은 양(陽)에 속하며 木이 부여됩니다.
巽궁은 음(陰)에 속하며 木이 부여됩니다
坎궁은 양(陽)에 속하며 水가 부여됩니다.
艮궁은 양(陽)에 속하며 土가 부여됩니다.
坤궁은 음(陰)에 속하며 土가 부여됩니다
8궁에 소속되는 각 8괘의 이름입니다. 모두 순서대로 외워야 합니다.
一 乾天宮 - 양금(陽金)
건 구 돈 부 관 박 진 대유
二 兌澤宮 - 음금(陰金)
태 곤 췌 함 건 겸 소과 귀매
三 離火宮 - 화(火)
이 여 鼎(정) 미제 몽 환 송 동인
四 震雷宮 - 양목(陽木)
진 예 해 항 승 井(정) 대과 隨(수)
五 巽風宮 - 음목(陰木)
손 소축 가인 익 무망 서합 이 고
六 坎水宮 - 수(水)
감 절 둔 기제 혁 풍 명이 사
七 艮山宮 - 양토(陽土)
간 분 대축 손 규 리 중부 점
八 坤土宮 - 음토(陰土)
곤 복 임 태 대장 쾌 需(수) 비
8궁 소속괘는 필히 외워야 하는데 괘이름 만으로 외우는 것이 편리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수괘부터 외워서 숙달하여야 합니다.
건 구 돈 부 관 박 진 대유
태 곤 췌 함 건 겸 소과 매
이 여 정 미제 몽 환 송 동
진 예 해 항 승 정 대과 수
손 소축 가 익 망 서 이 고
감 절 둔 기제 혁 풍 이 사
간 분 대축 손 규 리 부 점
곤 복 임 태 대장 쾌 수 비
한대의 역학자인 경방은 각 8괘가 8궁에 소속되는 원리를 다음과 같은 변화의 이치로 설명하였습니다. 각 궁의 首괘(머리괘)에서 부터 각각의 초효가 변화되는 과정을 따라 8개의 괘가 같은 소속궁을 가지게 되는 것인데, 초효부터 음양이 바뀌기 시작하여 5효에 이르러 다시 아래를 향하여 바뀌며 맨 마지막 효는 下괘 전체가 음양이 바뀌는 법칙을 따릅니다.
괘의 변화는 맹희의 12월괘, 초연수의 64괘변, 경방의 팔궁괘변, 우번의 음양괘변, 위백양의 건곤감이 괘변, 유염의 64괘직도 등이 있습니다. 육효에서는 경방의 8궁괘변을 따릅니다.
<표2> 艮궁에 소속되는 8괘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 분 대축 손 규 리 중부 점
9) 八괘의 납갑법(納甲法)
육효학을 완성한 경방은 주역 64괘의 여섯효 마다에 오행을 배속하여 그것으로 모든 괘상의 기미와 길흉을 추단하는 방법을 시도하였습니다. 이것을 운천갑자(運天甲子) 혹은 납갑법(納甲法)이라고 하는데 12지 납갑법은 경방의 스승인 초연수로부터 전해진 것이라고도 합니다.
납갑법이란 육십갑자를 기본팔괘의 여섯효에 배치시키는 규칙을 말합니다. 모든 납갑은 초효에서부터 상효를 향해 순서대로 배속되는데, 陽괘는 子寅辰午申戌의 순행하는 순서로 붙여나가며, 陰괘는 丑亥酉未巳卯의 역행하는 순서로 붙여 나갑니다.
양괘는
乾괘와 震괘는 아버지와 장남의 자리가 되니 子에서부터 시작합니다.
坎괘는 중남의 자리이니 寅에서부터 시작합니다.
艮괘는 少男의 자리이니 辰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음괘는
어머니 자리인 坤괘는 未에서부터
장녀 자리인 巽괘는 丑에서부터
중녀 자리인 火괘는 卯에서부터
소녀 자리인 兌괘는 巳에서부터 시작하여 배치합니다.
또한 천간을 배속하는 법은
건괘는 하괘는 1,2,3효에 甲, 상괘는 4,5,6효에 壬을 붙이며 이하 아래표에 기준합니다. 단 육효학에서는 지지의 납갑만이 주로 쓰이며 천간의 납갑은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아래 납갑표 역시 반드시 외워야 하는데 외울 때는
건천 갑자자인진 임오오신술...이화기묘 묘축해유미사...등으로 외우는 것이 편리합니다.
<표3>
하괘(內卦) 상괘(外卦)
乾천 甲子 자인진 壬午 오신술
坤지 乙未 미사묘 癸丑 축해유
離화 己卯 묘축해 유미사
坎수 戊寅 인진오 신술자
震뇌 庚子 자인진 오신술
巽풍 辛丑 축해유 미사묘
艮산 丙辰 진오신 술자인
兌택 丁巳 사묘축 해유미
즉 건천괘라면 초효에서 부터 상효까지
갑자, 갑인, 갑진, 임오, 임신, 임술이 각각 붙는 것이 됩니다.
또 간산괘라면 초효에서 부터 상효까지
병진, 병오, 병신, 병술, 병자, 병인이 각각 붙는 것이 됩니다.
그러나 실제 쓰이는 것은 지지만 쓰이기 때문에
건천괘라면 초효에서 부터 상효까지 자,인,진,오,신,술이 각각 붙는 것만 알면 됩니다.
간산괘라면 초효에서 부터 상효까지 진,오,신,술,자,인이 각각 붙는 것만 알면 됩니다.
64괘는 상괘와 하괘가 대부분 다르기 때문에 납갑을 하는 경우에는
상괘는 상괘대로 납갑을 붙치며, 하괘는 하괘대로 납갑을 붙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천산둔(天山遯)괘가 나온 경우 납갑을 붙치게되면 다음 표와 같이 됩니다.
<표4>
상괘 天의 하괘 山의 천산둔 괘의
납갑붙치기 납갑붙치기 납갑 완성
술 | | 戌 |
신 | | 申 |
오 | | 午 |
| 신 | 申 |
|| 오 || 午 ||
|| 진 || 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