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時 五行의 宜忌를 論함-附論
(1)
木의 宜忌 :
春木之木 餘寒猶存 喜火溫煖 則無盤屈之患 籍水資扶 而舒暢之美 春初不宜水盛 陰濃濕重
춘목지목 여한유존 희화온난 칙무반굴지환
적수자부 이서창지미 춘초불의수성 음농습중
則根損枝枯 又不可無水 陽氣煩燥 則根乾葉萎 須水火旣濟方佳 土多則損力土薄則財豊
근손지고
우불가무수 양기번조 칙근건엽위 수수화기제방가 토다칙손력토박칙재풍
忌逢金重 剋伐傷殘 設使木旺得金則美
기봉금중 극벌상잔
설사목왕득금칙미
봄의 木은 한기(寒氣)가 남아 있으니 火로써 온난(溫暖)하게 해주면 좋으니, 이렇게 되면 반굴(盤屈=서리고
어그러짐)의 우려가 없게 된다. 그러면서 水로써 도우면 서창(舒暢=화락한 상태)의 미(美)가 있다.
이른 봄에는 水가 왕성한 것이
마땅하지 않으니, 습하면 뿌리가 상하고 가지가 상하는 결함이 있다. 또한 水가 없으면 안되니 너무 양기만 왕성하다면 뿌리가 마르고 잎이 시들게
된다. 모름지기 水火가 잘 배합되어야 좋은 것이다. 土가 많으면 나무의 힘이 빠지고 土가 적으면 재물이 풍부하다. 꺼리는 것은 金이 중첩되는
것이니 나무를 극벌하여 다치게 만드는 까닭이다. 그러나 만약 木이 왕성하다면 金이 있어야 좋다.
夏月之木 根乾葉枯
欲得水盛而滋潤之功 切忌火旺而招自焚之患 土宜其薄 不可厚重
하월지목 근건엽고 욕득수성이자윤지공 체기화왕이초자분지환 토의기박
불가후중
厚重反爲災咎 金忌其多 不可欠缺 欠缺不能斲削 重重佳木徙以成林 疊疊逢華 終無結果.
후중반위재구 금기기다 불가흠결
흠결불능착삭 중중가목사이성림 첩첩봉화 종무결과.
여름의 木 은 뿌리가 마르고 가지가 시들게 되니, 왕성한 水를 얻으면 윤택하게
된다. 절대로 火가 왕성한 것을 꺼리니, 이는 火가 지나치게 왕성하게 되면 나무가 타게 되는 까닭이다. 土는 적게 있어야 하니 土가 많으면
재앙이 있게 된다. 金이 많으면 안되는데, 그렇다고 없어서도 아니니 金이 없으면 가지를 쳐줄 수가 없기 때문이다. 木이 중중하면 숲을 이루어 그
무성함을 볼 수 있지만 결국엔 아무런 결실이 없게 된다.
秋月之木 氣참漸凋零 初秋火氣未濟 尤喜水土以相滋 中秋果己成實
欲得剛金之修削
추월지목 기참점조영 초추화기미제 우희수토이상자 중추과기성실 욕득강금지수삭
霜降後不宜水盛 水盛則木漂 寒露後又喜火炎
火炎則木實 木盛有多材之美 土厚無任才之能.
상강후불의수성 수성칙목표 한로후우희화염 화염칙목실 목성유다재지미
토후무임재지능.
가을은 木 이 점차 시들어 마르는 계절이다. 초추(初秋)엔 화기(火氣)가 아직 남아 있으니 水土로 돕는 것이 좋다.
중추(中秋)에는 과일이 이미 익었으니 강금(剛金)의 수삭(修削)이 필요하다. 상강(霜降)이 지난 후에는 水가 왕성해지면 좋지 않으니, 그렇게
되면 木이 표류하게 된다. 한로(寒露) 후에는 火의 열기가 필요하니 火의 열기가 있으면 木이 실(實)하게 된다. 가을에는 木이 왕성하면 재목이
많아져 좋은데 土가 많으면 재를 감당하지 못한다.
冬月之木 盤屈在地 欲土多以培養 惡水盛以忘形 金縱多,剋伐無害
火重見,
동월지목 반굴재지 욕토다이배양 오수성이망형 금종다,극벌무해 화중견
溫燠有功歸根復命之時 木病安能輔功 須忌死絶之地
只宜生旺之方.
온욱유공귀근부명지시 목병안능보공 수기사절지지 지의생왕지방.
겨울의 木은 반굴(盤屈)의 우려가 있으니 土가 많아
배양해야 한다(추위를 막기 위해서 필요 하다). 水가 왕성하고 많으면 고유한 형체를 잃게 되고, 金이 많으면 극을 당하니 해롭고 火가 중첩되면
목을 따뜻하게 하는 공이 있고, 지지에 통근하면 편안하게 된다. 사절(死絶)이 되면 나쁘고 생왕(生旺)하면 좋다.
(2)
火의 宜忌 :
春月之火 母旺子相 勢力竝行 喜木生扶 不宜過旺 旺則火炎 欲水旣濟 不宜太多 多則火滅
춘월지화 모왕자상 세력병행 희목생부 불의과왕
왕칙화염 욕수기제 불의태다 다칙화멸
土多則晦光 火盛則燥烈 見金加以施功 縱重見才富尤遂.
토다칙회광 화성칙조열 견금가이시공
종중견재부우수.
봄의 火는 母(木)가 왕하여 子(火)가 따라서 왕하니, 木火의 세력이 함께 왕하게 된다. 비록 생조함이 좋다고
하지만 지나친 것은 좋지 않으니, 지나치게 火가 왕하면 水가 있어서 조절해야 하는데, 水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지니 좋지 않다. 土가 너무
많으면 빛을 잃고 火가 지나쳐 치열하게 되면 金이 중첩하여야 좋다.
夏月之火 乘旺秉權 逢水制則免自焚之咎 見木助必招夭折之憂 遇金必作良功
得土水盛稼穡
하월지화 승왕병권 봉수제칙면자분지구 견목조필초요절지우 우금필작양공 득토수성가색
然金土雖爲美利 無水則金燥土焦
再加木助,勢必傾危
연금토수위미리 무수칙금조토초 재가목조,세필경위
여름의 火는 왕성하니(득령) 水가 있어야 스스로 소멸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木의 생조가 있으면 요절할 우려가 있고, 金을 만나면 장인을 만남과 같아서 좋고, 토를 얻으면 가색격을 이룬다. 金土가 있으면
좋다고 하나 水가 전혀 없으면 金이 무르게 되고, 게다가 木까지 가세하면 金이 녹게 된다.
秋月之火 性息體体 得木生,則有復明之慶 遇水剋,難免損滅之災
土重而掩息其光
추월지화 성식체체 득목생,칙유부명지경 우수극,난면손멸지재 토중이엄식기광
金多而損傷其勢 火見木以光輝
縱疊見而有利.
금다이손상기세 화견목이광휘 종첩견이유리.
가을의 火 는 휴식하는 때이니 木의 생조가 있으면 다시 밝음을 되찾게
되고, 水가 극하면 꺼질 우려가 있다. 土가 중하면 그 빛을 잃고(토다금매) 金이 중하면 화기(火氣)가 상하니, 화가 목을 만나면 그 빛을
발하고, 木火가 중첩되어 왕해야 좋게 된다(어린아이가 엄마를 봄과 같다).
冬月之火 體絶形亡 喜木生而有 救遇水剋以爲殃 欲土制爲榮 愛火比爲利
見金則難任爲財
동월지화 체절형망 희목생이유 구우수극이위앙 욕토제위영 애화비위리
견금칙난임위재
無金則不遭磨折.
무금칙불조마절
겨울의 火 는 절(絶)에 처했으니 木이 생함을 기뻐하고, 水가
강력하면 재앙이 있으며, 土가 水를 제압하면 영화로우며, 火의 비견, 겁재가 있으면 유리하다. 金을 만나면 재물을 감당하지 못하니 金이 없어야
좋다.
(3)
土의 宜忌 :
春月之土 其勢孤虛 喜火生扶 惡木太過 忌水泛濫 喜土比助 得金而制木爲祥 金多則仍盜土氣.
춘월지토 기세고허 희화생부 악목태과
기수범람 희토비조 득금이제목위상 금다칙내조토기.
봄의 土는 허약하니 火로써 생조해야 하고, 水木이 많음을 꺼리며 土가 있어 도우면
좋고, 金으로써 木을 제압해도 길하지만 金이 너무 많아도 설기가 심하므로 좋지 않다.
夏月之土 其勢燥烈 得水滋潤成功 忌火煅煉焦坼 木助火炎 生剋不取
金生水泛 妻才有益
하월지토 기세조열 득수자윤성공 기화단련초절 목조화염
생극불취 금생수범 처재유익
益見比助則蹇滯不通 如太過又宜木襲
익견비조칙곤체불통 여태과우의목습
여름의 土는 건조하니
水로써 적셔주면 성공하고, 火가 중첩하면 메마른데 木이 火를 도우면 나쁘며, 金이 水를 생하면 유익하여 처와 재물이 좋고, 비견, 겁재가 많으면
기가 유통되지 못해 나쁘고, 土가 너무 많으면 木으로 제압해야 좋다.
秋月之土 子旺母衰 金多而耗盜其氣 木盛須制伏純良 火重重而不厭
水泛泛而非祥
추월지토 자왕모쇠 금다이모도기기 목성수제복순양 화중중이불염 수범범이비상
得比肩則能助力
至霜降不比無妨.
득비칙능조력 지상강불비무방.
가을의 土는 설기가 심하여 허약하니 火가 많아도 싫지 않고, 木이 강하면 제압해야
좋고, 水가 많으면 나쁘고, 비견이 있으면 힘을 얻고, 상강이 지나면 비견이 없어도 가하다.
冬月之土 外寒內溫 外寒內溫 水旺財豊 金多子秀 火盛有榮 木多無咎
再加比助爲佳
동월지토 외한내온 외한내온 수왕재풍 금다자수 화성유영 목다무구
재가비조위가
更喜身强爲壽.
갱희신강위수.
겨울의 土는 밖으로는 차가우나 내면은 따사로우니 水가 왕하면 재물이
풍부하고, 金이 많으면 자식이 영화롭고, 火가 왕성하면 영화로우며, 木이 많아도 해롭지 않으며, 비겁이 있으면 좋고, 신강하면 장수하게
된다.
(4)
金의 宜忌 :
春月之金 餘寒未盡 貴乎火氣爲榮 體弱性柔 宜得厚土爲輔 水盛增寒 失鋒銳之勢 木旺損力
춘월지금 여한미진 귀호화기위영 체약성유
의득후토위보 수성증한 실봉예지세 목왕손력
有剉鈍之危 金來比助 扶持最妙 比而無火 失類非良.
유좌둔지위 금래비조 부지최묘 비이무화
실류비량.
봄의 金은 한랭함이 남아 있으니 火가 있으면 영화롭고, 土로써 보조하면 길하고, 水가 왕성하면 한기를 가중시키니 나쁘며,
木이 왕하면 무뎌지니 비겁으로 도우면 가장 묘하고, 너무 비겁이 많으면 火가 있어야 한다.
夏月之金 尤爲柔弱 形質未備 更嫌死節 火多不厭 水潤呈祥 見木助鬼傷身
遇金扶持精壯
하월지금 우위유약 형질미비 갱혐사절 화다불염 수윤정상 견목조귀상신 우금부지정장
土薄最爲有用
土厚埋沒無光.
토박최위유용 토후매몰무광.
여름의 金은 너무 연약하니 水가 있으면 길하고, 水가 木을 도우면 나쁘며, 土金으로
도우면 길하지만 土가 너무 많으면 매몰될 우려가 있다.
秋月之金 金得當權 火來煅煉 遂成鐘鼎之材 土多培養
反爲頑濁之氣 見水則精神鉞秀
추월지금 금득당권 화래단련 수성종정지재
토다배양 반위완탁지기 견수칙정신월수
逢水則斲削施威 金助愈剛 過剛則折 氣重愈旺 旺極則衰
봉수칙착삭시위 금조유강 과강칙절 기중유왕
왕극칙쇠
가을의 金은 힘이 있으니 火로써 단련하면 큰 그릇이 되고, 土가 많으면 해롭고, 水로써 설기하면 좋으며, 金이 너무 강하면
오히려 꺾이게 된다.
冬月之金 形寒性冷 木多難施斧鑿之功 水盛未免沈潛之患 土能制水 金體不寒
火來生土
동월지금 형한성냉 목다난시부착지공 수성미면침잠지환 토능제수 금체부한 화래생토
子母成功 喜比肩聚氣相扶
欲官印溫養爲利.
자모성공 희비견취기상부 욕관인온양위리.
겨울의 金 은 차가우니 木이 많으면 좋고, 水가 왕하면 가라앉을 우려가
있으니 土로써 막아야 하며, 火土가 있으면 성공이고, 비겁이 있으면 관인(官印)이 있어 따듯하게 하면 좋다.
(5)
水의 宜忌 :
春月之水 性濫滔淫 再逢水助 必有崩堤之勢 若加土盛 則務泛漲之憂 喜金生扶 不宜金盛
춘월지수 성남도음 재봉수조 필유붕제지세 약가토성
칙무범창지우 희금생부 불의금성
欲和旣濟 不宜火炎 見木而可施功 無土仍愁散漫.
욕화기제 불의화염 견목이가시공
무토잉수산만.
봄의 물은 범람하여 음란하니 水가 중첩되면 제방이 무너질 우려가 있고, 土가 너무 많아도 나쁘며, 金의 생조를 받으면
좋으나 너무 金이 많아도 나쁘니 그럴 때는 火가 있어야 하지만 火가 너무 많아도 나쁘다. 木이 있으면 공을 이루고 土가 없으면 산만하게
된다.
夏月之水 執性歸源 時當涸際 欲得比肩 喜今生助體 忌火旺太炎 木盛則洩其勢
土旺則制其流.
하월지수 집성귀원 시당학제 욕득비견 희금생조체 기화왕태염 목성칙설기세 토왕칙제기류.
여름의 물 은 고갈되니
金水를 좋아하며, 木火土가 많으면 나쁘다.
秋月之水 母旺子相 得金助則淸純 逢土旺則混濁 火多而財盛 木重而身榮
重重見水
추월지수 모왕자상 득금조칙청순 봉토왕칙혼탁 화다이재성 목중이신영 중중견수
增其泛濫之憂 疊疊逢土
始得淸平之意.
증기범람지우 첩첩봉토 시득청평지의.
가을의 물은 청순한데 土가 섞이면 혼탁하게 되고, 火가 많으면 재물이
풍부하고, 木이 중첩하면 영화로우며, 金이 중첩하면 범람할 우려가 있으니 이럴 때는 土가 막아주면 평안해진다.
冬月之水 司令當權 遇火則增暖除寒 見土則形藏歸化,金多反致無義
木盛是謂有情
동월지수 사령당권 우화칙증난제한 견토칙형장귀화,금다반치무의 목성시위유정
水流泛濫賴土堤防
土重高亢反成涸輟.
수류범람뢰토제방 토중고항반성학철.
겨울의 물은 강력하니 火가 있어 따듯하게 하면 좋고, 土가 있으면 좋으며,
金이 많으면 의리가 없고, 木이 왕성하면 유정하며, 물이 범람하면 土로 제방을 만들어야 하지만 土가 너무 많으면 물이
고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