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甲木
1. 甲木은 본성상 乙木의 조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乙木은 겁재탈인(劫財奪印)의 흉력을 발하여 甲木에 이상적인 癸水의 조력을 앗아간다. 庚金으로 합(合)하는 것이 최선이다.
2. 甲木의 이상적인 근(根)은 辰土다.
★★★辰은 난습(暖濕)하여 글자 자체로 조후(調喉)되는 중요한 글자로서 암장된 癸水가 丙火, 양광(陽光)을 가리는 일이 없으니 甲木과 가장 잘 조화된다.
3. 甲木은 우선 土를 본 연후 水를 써야 한다.
4. 甲木이 너무 강하면 火로 설(洩)하기 이전, 庚金으로만 귀(貴)를 조율할 수 있다.
5. 춘목(春木)은 金을 두려워 한다.
6. 추목(秋木)은 庚丁(庚+甲+丁:벽갑인정)의 조합을 제일로 삼으며 土를 그다지 기뻐하지 않는다.
7. 동목(冬木)은 필시 丙火를 요(要)한다.
8. 壬水가 왕(旺)하면 부목(浮木)되고 癸水가 왕(旺)하면 부목(腐木)될 염려가 있으니 이 경우는 戊土로 구제함이 마땅하다.
<喜>
甲 + 甲
쌍목위림(雙木爲林): 경쟁에 강한 명.
甲 + 甲 + 甲
삼목위삼(三木爲森) : 엄청난 활동력의 소유자로 다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우수명.
甲 + 丙
비조부혈(飛鳥趺穴): 예기치 않은 행운이 일생에 걸쳐 나타남. 이 경우 일간 甲木에 癸水 또는 己土가 첩신(貼神)되면 확실하게 성격(成格)되고 ‘甲+癸+丙’의 구도는 ‘비조부혈’의 길의가 나타나지 않음. ‘甲+丙+癸’의 경우는 구제됨.
★★★丙火 식신(食神)은 甲木의 힘을 설기(洩氣)하지 않으며 오히려 강하게 한다. 십간(十干)의 세계에서 단순한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논리는 통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은 격국(格局)의 고저(高低)를 논함에 한정되는 이론으로 활용해야 한다. 조후(調喉)용신의 운용법을 부억(扶抑)의 그것과 혼돈하는 우(愚)를 범하지 말라.
甲 + 丁
유신유화(有薪有火) : 장작에 불이 붙은 격. 학문이나 예술적 재능이 탁월함.
甲 + 丁 + 戊
유신유화유로(有薪有火有爐) : 지식의 습득 능력이나 발표력이 탁월한 구조로 학업이 매우 우수함.
★★★일간과 관계가 좋은 상관이 있고 이를 일간과 관계가 좋은 겁재가 생하여 주면 한판에 도약하여 크게 성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탄탄대로의 일생이 펼쳐지는 복됨이 있다. 이를 인보상관(刃輔傷官)이라 하고 甲+丁+乙, 丁+戊+丙, 辛+壬+庚 이상 세 가지에 경우에 한(限)한다.
甲 + 己
양토육목(壤土育木) : 좋은 토양에서 잘 자라는 나무의 형상. 경영능력이 강함. 丙火와 조합되면 예능계, 술업 계에 강하고 癸水와 조합되면 유흥, 요식업계에 적합함.
甲 + 庚
흔목위재(欣木爲財) : 좋은 재목의 상. 사목(死木:秋木)이어야 하고 이 경우 관(官) 계통으로 크게 출세함.
甲 + 壬
횡당유영(橫塘柳影) : 가로지른 연못에 수양버들 그림자가 늘어진 격. 인기인. 丙火와 조합되면 특히 물류 계 통에서 뛰어난 교제술로 출세함.
甲 + 癸
수근로수(樹根露水) : 초목이 비를 맞아 싱싱한 격. 대인관계가 좋고 조직이나 집단에서 공을 세움. 己土와 조
합되면 큰 부(富)를 축적함.
<忌>
甲 + 戊
독산고목(禿山孤木) : 민둥산의 고목 형상. 부의 산실을 겪고 안정감이 떨어짐. 戊土의 저항이 심하면 전형적인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기 십상임.
甲 + 辛
목곤쇄편(木棍碎片) : 잘게 부수어져 쓸모 없는 조각. 고위직에 오르지 못함.
(2)乙木
1. 乙木은 양지(陽支)를 기뻐한다. 따라서 寅을 기뻐하고 卯를 달가워하지 않는다. 전자일 경우 형제나 주변의
기대하기 용이하다.
2. 乙木이 약하면 인(印)의 조력보다 甲木을 더욱 기뻐하고 강하면 金의 극(剋)보다 丙火로 설(洩)하는 게 좋다.
★★★음양간의 전형적인 특성상 양간(陽干)이 강하면 설(洩)하기 이전 관살의 극을 기뻐하고 약하면 비겁보다 인성의 조력을 기뻐하며 음간(陰干)의 경우 강하면 우선적으로 상관(傷官)의 설기를 기뻐하고 약하면 겁재(劫財)의 조력을 가장 기뻐한다.
<喜>
乙 + 甲
등라계갑(藤蘿繫甲) : 담쟁이 넝쿨이 소나무를 휘감은 격. 귀인의 조력을 받음. 일생을 통하여 두려운 바가 없음.
乙 + 戊 + 甲
등라반갑하고(藤蘿絆甲下固): 귀인, 관청 등의 천거로 원조를 입어 매우 출세하며 癸水가 더해지면 학문적으로도 명성을 날리고 물질적으로도 성공함.
乙 + 丙
염양려화(艶陽麗花) : 아름다운 꽃이 찬란한 빛을 받아 빛나는 격. 표현력이 뛰어나고 실력 이상의 평가를 받음.
乙 + 戊
선화병명(鮮花名甁) : 청순한 꽃이 그려진 화병 형상. 이재적(理財的) 수완으로 부(富)를 이룸.
★★★乙木은 己土만을 극할 뿐 戊土를 극할 수는 없으므로 乙과 戊의 관계에 목극토(木剋土)의 등식은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화병명’의 명식은 재적(財的) 성취 면에서 실업(實業)보다는 금융적인 지식이나 재테크 등을 통한 부(富)의 축적을 암시하는 바가 큰 것이다.
乙 + 己
양토배화(壤土培花) : 좋은 토양에 꽃이 잘 자라는 격. 예능계의 경영 수완을 발휘. 丙火와 조합되면 서비스, 오락업계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음.
乙 + 壬
출수부용(出水芙蓉) : 물 위에 떠 있는 연꽃의 형상. 귀인의 조력으로 순식간에 상류사회에 진입.
乙 + 壬 + 丙
강휘상영부유영(江輝相映浮柳影) : 뛰어난 교제 능력으로 업계에서 출세하게 됨. 특히 유통 관련 업종에서 출세한다고 전해짐.
★★★壬水는 乙木에 대해 희기가 극단적으로 작용하여 만일 壬水가 기신(忌神)일 경우 이를 축수도화(逐水桃花)라 하고 타인으로부터 곤혹스러운 일을 당하기 쉬우며 여성의 경우는 특히 이성과 마찰이 심해 순탄치 않은 삶을 예고하는 특성이 있다.
乙 + 癸
청초조로(靑草朝露) : 풀잎에 맺힌 맑은 이슬. 대인 관계가 좋으며 남의 힘을 이용하여 뻗어나감.
<忌>
乙 + 乙
복음잡초(伏吟雜草) : 주변의 조력을 입지 못하는 격. 형제나 동료의 덕이 박함.
乙 + 丁
화소초원(火燒草原) : 초원이 불타는 격. 표현력이 약하고 재능을 인정받지 못하는 불우함이 있음.
乙 + 庚
백호창광(白虎猖狂) : 백호가 난폭하게 날 뜀. 갑작스런 재앙을 예고함.
乙 + 辛
이전최화(利剪催花) : 날카로운 가위로 꽃을 자름. 일반 직장 근무가 맞지 않음.
(3)丙火
1. 丙火가 무근(無根)하면 부조(扶助)하는 용(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인비(印比)의 상생(相生), 동기(同氣) 효과가 전무하다.
2. 丙火는 일단 통근(通根)하면 좀체 종(從)하지 않는다.
★★★통천론(通天論) 편에 특별히 오양개양병위최(五陽皆陽丙爲最)라 서술하여 양간(陽干)의 특성이 가장 강렬한 글자는 丙火다. 다만 丙火가 뿌리를 내리는 지지가 합(合)이나 沖(충)으로 통근하는 힘을 무력화 시키면 종(從)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丙火는 대개 癸水를 두려워하나 丙火가 강하면 癸水를 크게 두려워하지 않는다.
<喜>
丙 + 乙
염양려화(艶陽麗花) : 지식의 흡수가 뛰어난 수명(秀命).
丙 + 乙 + 壬
강휘상영부유영(江輝相映浮柳影) : 복종심이 두터워 공무원이나 직장인으로 출세함.
★★★화명목수(火明木秀)면 경괴(經魁)라 하여 木의 천간과 火의 천간이 관계가 좋으면 학문이 높다고 전해진다. 甲+丙, 甲+丁, 乙+丙의 삼자 관계를 논한다.
丙 + 己
대지보조(大地普照) : 표현력이 탁월하여 학술, 교육, 종교계에서 두각을 나타냄.
丙 + 壬
강휘상영(江暉相暎) : 충성심을 발휘하며 조직 내에서 고위직에 오를 수 있는 유형.
★★★丙과 壬의 수화상조(水火相照)명은 중앙정부에서 정치를 펴는 경우가 많다.
<忌>
丙 + 丙
복음홍광(伏吟洪光) : 너무 밝은 빛이 오히려 혼탁해진 격. 주변의 조력을 받지 못함.
★★★복음홍광의 경우에는 癸水로 제어함이 양호하다.
丙 + 癸
흑운차일(黑雲遮日) : 직장생활이 맞지 않으며 조직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기가 어려움.
(4)丁火
1. 丁火는 건조한 甲木만을 기뻐하며 습한 甲木이나 乙木은 전혀 반기지 않는다.
2. 丁火는 戊土로 인해 적당한 힘을 가지며 甲木만 있으면 절대 약해지지 않는다.
<喜>
丁 + 甲
유화유신(有火有薪) : 사물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두뇌의 명석함으로 인해 경쟁력이 강함.
丁 + 甲 + 庚
벽갑인정(劈甲引丁):
총기의 발현으로 특히 경쟁력에 강한 유형이며 재적(財的) 성취 면에서 유리함.
★★★甲木이 기신으로 작용하면 포신구화(抱薪救火)라 하여 장작을 껴안고 불숲에 뛰어드는 격이니 책사책(策士策)
에 빠지는 불리한 현상으로 나타난다. 성실성보다는 요령을 우선시하다 실패하는 경우로 戊土를 보면 흉의가 매우 감소된다.
丁 + 丁
양화위염(兩火爲炎) : 두 불길이 타오르는 격으로 속도에서 기선을 제압하여 성공함.
丁 + 丁 + 甲 + 戊
유화유신유로(有火有薪有爐) : 속전속결의 귀재.
丁 + 丙
항아분월(姮娥奔月) : 역경에 분투하는 기상이 뛰어나고 한 곳으로 정진하는 끈기로 성취함.
丁 + 戊
유화유로(有火有爐) : 자기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되어 큰 발전과 성공을 거둠.
★★★丁火는 기본적으로 甲木이나 戊土가 없으면 힘을 쓰지 못한다. 따라서 甲, 丁, 戊 (有薪有火有爐:유신유화유로)나 庚, 丁, 戊 (火煉眞金:화련진금)처럼 삼간(三干)이 나란히 배열되면 크게 번영하는 상격(上格)의 대표적 유형에 속한다.
<忌>
丁 + 乙
건시열화(乾柴烈火) : 요령을 우선하여 재(才)가 도리어 원수가 되는 경향이 있음.
★★★포신구화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 戊土를 보면 흉의가 경감된다.
(5)戊土
1. 戊土는 寅, 申, 巳, 亥 네 글자에 뿌리를 내리는 힘이 극히 미약하다.
★★★己土 역시 사맹(四孟)의 글자에 뿌리를 내리는 힘은 미약하나 다만 `巳`에 한(限)하여 戊土 양간만은 통근(通根)한 힘이 작용됨을 인정해야 한다. 양간은 음간과 달리 특성상 12운성의 작용력에 민감하며 록(祿)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喜>
戊 + 丙
일출동산(日出東山) : 처음에는 고생스럽더라도 나중에는 대성하는 길조가 있음.
戊 + 丁 :
유로유화(有擄有火) : 기획력이 뛰어나며 사물의 처리나 대책을 솜씨 있게 다루는 재능으로 성공.
戊 + 壬
산명수수(山明水秀) : 지능에 의해 대성공을 거둘 수 있는 우수한 두뇌의 소유자.
戊 + 壬 + 丙
산명수수강휘상영(山明水秀江輝相映) : 비상한 두뇌로 대성함.
★★★戊土가 약하고 壬水가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壬水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범람(氾濫)의 형상이 되어 매우 인색한 특성을 지니게 되며 대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유형이 된다. 이 점은 癸水 또한 마찬가지다.
<忌>
戊 + 甲
거석압목(巨石壓木) : 줏대가 없으며 자신이 주장이라고는 없으니 출세하기 어려움.
★★★戊土는 비록 양간이나 보통의 경우와 달리 강할 경우는 木의 극(剋)보다는 설(泄)의 관계를 기뻐한다.
戊 + 庚
조주위학(助紂爲虐) : 매우 참견이 심하여 그로 인한 손해를 보기 십상. 득이 없음.
★★★戊土의 경우 식상(食傷)인 庚, 辛金이 강하면 식상의 부정적인 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6)己土
1. 己土가 丙火로 인해 특별히 강해지면 癸水로 빛을 막아야 한다.
2. 己土가 甲木에 의해 극(剋)이 심해도 癸水는 구제의 신이 된다.
<喜>
己 + 丙
대지보조(大地普照) : 경쟁 구도에서 뜻하지 않은 원조자를 만나며 영광을 거머쥠.
★★★ 丙火가 기신(忌神)으로 작용하면 홍광천리(洪光千理)라 하여 탁한 광채가 천리가 가는 격이니 생각하는 바가 사납고 인기가 없으므로 성공하기 어렵다.
己 + 戊
경련상배(硬軟相配) : 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대인 관계가 원만하여 대성함.
己 + 癸
옥토위생(玉土爲生) : 육친과 타인의 덕이 투터워 유복한 생활을 구가함.
<忌>
己 + 甲
목강토산(木强土山) : 매우 건강이 약하거나 위장병을 앓기 쉬움.
己 + 乙
야초난생(野草亂生) : 사업이나 일의 처리에 야무진 데가 없고 행운이 잘 따르지 않음.
己 + 壬
기토탁임(己土濁壬) : 재물 운이 나쁘며 이성의 덕이 박하고 색정 문제를 일으키기 십상.
(7)庚金
1. 庚金이 강하면 두 가지의 대표적인 용법이 있다. 壬水로 설(泄)하거나 丁火로 제(制)함이 최선이다.
2. 庚金의 귀(貴)는 丁火로 조율하며 癸水가 실패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십상이다.
3.. 庚金은 甲木을 쉽게 극할 수 있으므로 춘목(春木)에 庚金은 좋지 않다.
<喜>
庚 + 丁
화련진금(火煉眞金) : 직장근무나 조직 내에서 강한 운을 맞이함.
★★★ 庚, 丁, 戊로 삼간(三干)이 나란히 배열되면 크게 번영하는 상격(上格)의 대표적 유형에 속한다.
庚 + 壬
득수이청(得水而淸) : 선천적인 재능을 다 발휘하여 성공을 거둠.
★★★壬水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수다금침(水多金沈)이 되어 만사 참견이 많고 이는 실패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忌>
庚 + 丙
태백입형(太白入熒) : 직장 근무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 재능을 발휘하기가 어려움.
★★★丁火가 지나치게 강하여 기신으로 작용해도 화열금용(火烈金熔)이라 하여 동일한 흉의가 있다.
庚 + 戊
토다금매(土多金埋) : 타인으로부터의 조력도 별 큰 도움이 안되고 고군분투하는 격.
★★★ 인성(印星) 戊, 己土가 희신(喜神)으로 작용하게 되면 타인으로부터으이 조력이나 원조가 유효하며 길조를 얻는 좋은 운을 만난다.
庚 + 庚
양금상살(兩金相殺) : 일생 가운데 한번은 크게 다치는 일이 한번은 발생함.
庚 + 辛
청추쇄옥(鐵鎚碎玉) : 어쩌다 무서운 성격을 드러내면 큰 사고를 일으킬 소지가 강함.
庚 + 癸
보도사료(寶刀巳老) : 생수(生銹)라 하여 칼에 녹이 스는 격으로 참견이 많아 실패하는 유형.
(8)辛金
1.辛金처럼 유(柔)함이 지나지면 극제(剋制)가 해롭고 설(泄)함이 최선이다. < 적천수, 剛柔論>
2. 辛金은 壬水를 가장 기뻐하고 己土의 오(汚)를 무척 꺼린다.
<喜>
辛 + 壬
도세주옥(淘洗珠玉) : 지닌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더욱이 총명하여 매사 순조로움.
<忌>
辛 + 甲
월하송영(月下松影) : 치통을 앓기 쉽고 재운이 나쁘며 고독한 유형이다.
辛 + 丁
화소주옥(火燒珠玉) : 남성은 세상을 모르는 무기력함이 있고 여성은 이성에게 속기 쉬움.
★★★丙火는 辛金을 제어하지 못하며 조합시 위엄을 발한다는 길한 암시가 있다.
(9)壬水
1. 壬水가 강하면 타간(他干)에 재앙을 주기 쉽다.
2. 壬水는 식상의 설(泄)이나 丙火, 戊土의 상극을 받아도 약해지는 일은 없다.
3. 壬水의 귀(貴)는 戊土로 조율하며, 己土와의 조합은 항상 최악의 현상을 보게 된다.
4. 壬水의 재(財)는 丙火로 조율한다.
<喜>
壬 + 甲
수중유영(水中柳影) : 성실성이 풍부하고 자신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행운이 따름.
壬 + 乙
출수홍련(出水紅蓮) : 자기 능력 이상으로 재능을 인정받아 남의 도움으로 성공.
壬 + 乙 + 丙
강휘상영부유영(江輝相映浮柳影) : 한 마디로 인복이 두터운 부명(富命).
壬 + 丙
강휘상영(江輝相映) : 운이 강하고 재운이 깃들어 일확천금의 복덕을 누릴 수 있음.
壬 + 戊
산명수수(山明水秀) : 직장 근무로 성공하는 명. 조직 생활에 잘 적응하고 리더십을 갖춤.
★★★ 壬, 戊, 丙 이나, 壬, 戊, 丁의 삼자간 조합은 재관쌍미(財官雙美)의 전형적 상격(上格)으로 부귀를 겸전하게 된다.
壬 + 庚
경발수원(庚發水源) : 많은 사람들의 원조를 받아 대성하는 명.
壬 + 癸
천진지양(天津之洋) : 모든 경쟁에 강하며 그 결과로 순조로운 행보를 유지함.
★★★ 癸水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충천분지(沖天奔地)라 하여 저돌맹진으로 인해 생명이나 재산에 심대한 타격을 입기 쉽다.
<忌>
壬 + 己
기토탁임(己土濁壬) : 재물, 직장운이 나쁘며 이성운을 그르치기 쉬움.
壬 + 壬
왕양대해(汪洋大海) : 물결이 이는 망망 대해 격으로 무슨 일이든 지나쳐 실패하게 됨.
(10)癸水
1. 癸水는 丙火와 마찬가지로 타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바, 십간상 특별한 배합을 논하기 어렵다.
2. 癸水의 강함을 결정하는 것은 양간(陽干)의 속성과 유사하게 계절과 통근(通根) 함수에 있다.
3. 인성(印星)의 생(生)을 받지 않으므로 신약해도 금(金)의 협조성에 크게 의존할 수 없다.
<喜>
癸 + 己
습윤옥토(濕潤玉土) : 직장 생활이 적성에 맞으며 관청이나 대기업이 적합한 명.
★★★己土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남성은 직업상 문제가 발생하고 출세가 어렵게 되며 여성은 남편으로 인해 고생하기 십상이다.
<忌>
癸 + 丙
흑운차일(黑雲遮日) : 재물이 뜻대로 쉬 모이지 않고 손실을 보는 일이 잦음.
★★★丙火가 희신으로 작용하면 의미가 반전된다. 이와 같은 명식 조합은 일생동안 재운의 혜택을 누리는 데, 이는 비온 뒤 화창하게 개인 형상이다
'十幹f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幹應克 기문둔갑 비급대전 십간응극 (0) | 2006.12.08 |
---|---|
奇門遁甲 十幹克應 기문둔갑 십간극응십간대응결 (0) | 2006.12.08 |
奇門遁甲 天盤儀奇循 기문둔갑 천지지서 십간대응결 (0) | 2006.12.08 |
십간론 (0) | 2006.10.23 |
십간 희기 관계 (0) | 200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