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주(年柱)
태어난 연월일시 중에서 년(年)에 대한 천간과 지지를 말한다.
년주(年柱)의운세
生年의 간지를 근(根)이라 한다. 이 년주가 운명상으로 작용하는 것은 초년(初年) 또는 일평생을 통한 운명이다. 가정적으로는 부모·조상에 대한 덕의 유무를 보고, 사회적으로는 윗사람 관계를 본다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五月五日)을 단오절(端午節)이라 한다. 이날 대궐에서는 쑥을 빚어 범(虎)의 형상을 만들어 대신(大臣)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공조(工曹)에서는 단오선(端午扇)을 만들어 궁중(宮中)과 재상(宰相)의 집에 돌렸다.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천중적부(天中赤符-붉은 글씨로 쓴 부적. 내용은 천중적부를 궐내에 올려 문설주에 붙인다. 이는 상서롭지 못한 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예방함이다.
아이들은 창포탕(菖蒲湯)으로 얼굴을 씻고, 붉고 푸른 새옷을 입고, 창포뿌리로 비녀를 만들어 연지로 그 끝에 수복(壽福)이란 글자를 적어 머리에 꽂으면 온역(瘟疫)을 물리친다는 것이니 이를 단오장(端午粧)이라 한다.
당사주법(唐四柱法)
당사주는 당나라때 달마대사가 썼다는 것으로써, 년주를 기준으로 하여 보는 것이다. 보는 사람의 생년월일시에 따라 귀(貴), 액(厄), 권(權), 파(破), 간(奸), 문(文), 복(福), 역(驛), 고(孤), 인(忍), 예(藝), 수(壽)의 십이천성이 운명에 작용하는 것이다.
자년생(子年生)은 천귀성(天貴星)
축년생(丑年生)은 천액성(天厄星)
인년생(寅年生)은 천권성(天權星)
묘년생(卯年生)은 천파성(天破星)
진년생(辰年生)은 천간성(天奸星)
사년생(巳年生)은 천문성(天文星)
오년생(午年生)은 천복성(天福星)
미년생(未年生)은 천역성(天驛星)
신년생(申年生)은 천고성(天孤星)
유년생(酉年生)은 천인성(天忍星)
술년생(戌年生)은 천예성(天藝星)
해년생(亥年生)은 천수성(天壽星) 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생년이 닿는 곳에 다시 正月을 붙여 귀·액·권·파·간·문·복·역·고·인·예·수의 순서로 출생일까지 돌려짚고, 생일 닿는 곳에 또 子를 붙여 십이지(十二支)순서로 위 순서를 돌려짚고, 생월이 닿는 곳에 또 初一日을 붙여 위 순서로 출생일까지 돌려 짚고, 생일 닿는 곳에 또 子를 붙여 십이지(十二支) 순서로 위 순서를 돌려 짚는다.
천귀-귀함, 천액-재액, 천권-권세
천파-파패, 천간-간지(奸智), 천문-학문·문재
천복-복록, 천역-풍상·활동, 천고-고독
천인-살상, 천예-재능·예술, 천수-장수·고독
생년은 초년운을 보며,
생월은 중년운을 보며,
생일은 말년운을 보며,
생시는 노년운 및 평생총운을 본다
대서(大暑)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2번째 절기이다. 음력 유월 중기(六月中氣)이며, 이음(二陰)이 생(生)하는데, 양력으로는 매년 7月 23∼24日 사이에 든다. 대서란 일년 중 가장 더운 때라는 뜻이다.
대설(大雪)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21번째로, 음력 십일월절(十一月節)이다. 양력으로 매년 12月 7∼8日 사이에 든다. 大雪이란 눈이 본격적으로 내린다는 뜻이다.
대운(大運)
사주(四柱)의 길흉을 판단하기 위한 十年間의 기준점을 말한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에서 그림 참조)
(서화당인생풀이의 만세력 참조)
대한(大寒)
二十四節氣 가운데 마지막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매년 1월 20일∼21일 중에 든다. 대한이란 겨울 중에 가장 추운 때라는 뜻이다.
도화살(桃花殺)
도화살은 함지살(咸池殺) 또는 목욕살(沐浴殺) 혹은 패신(敗神)이라고도 한다.
申子辰(年日)-酉 巳酉丑(年日)-午
寅午戌(年日)-卯 亥卯未(年日)-子
예를들면, 申子辰年日에는 사주 가운데 酉가 있으면 도화(桃花)다. 사주에 도화가 있는 사람은 이성(異性)을 끄는 매력이 있으며, 자신도 풍류와 낭만(浪漫)을 즐기게 된다.
동지(冬至)
24절기 중에서 22번째 절기다. 양력으로는 12월 22∼23일 사이에 든다. 동지란 겨울철의 가장 중간 절기로서, 동지(冬至)바로 전까지 음기(陰氣)가 왕성하다가 동지가 드는 날부터 양기(陽氣)가 비로소 왕성해진다.
동지 무렵이면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이날부터 낮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밤은 점차 짧아지게 된다.
득령(得令)
木火土金水 오행이 제 때를 만남. 즉 오행이 왕(旺)하는 때를 만난 것이 득령이다.
예를들면,
甲乙木 - 寅卯辰에 月生 -木이 봄을 만남
丙丁火 - 巳午未에 月生 -火가 여름을 만남
戌己土 - 辰戌丑에 未月生-土가 사계월을 만남
庚辛金 - 申酉戌에 月生 -金이 가을을 만남
壬癸水 - 亥子丑에 月生 -水가 겨울을 만남
三月의 辰土는 木을 간직한 土다.
六月의 未土는 火를 간직한 土다.
九月의 戌土는 金을 간직한 土다.
十二月의 丑土는 水를 간직한 土다.
그러므로
寅卯辰은 木旺節이다.
巳午未는 火旺節이다.
甲由戌은 金旺節이다.
亥子丑은 水旺節이다.
등사(騰蛇)
육신(六身)의 하나. 己日을 사령한 中央의 토신(土神)이다. 육신(六身)은 甲乙은 청룡(靑龍)·丙丁은 주작(朱雀)·戌日은 구진(句陳)·己日은 등사(騰蛇)·庚辛은 백호(白虎)·壬癸는 현무(玄武)라 한다.
만화방창(萬化方暢)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한창 피어나 자람.
망신(亡身)
사주에 망신(亡身)이 있으면 일명 관부살(官符煞) 또는 파군살이라고 한다. 주로 주색(酒色)으로 다른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수치를 당한다는 살이다.두뇌가 총명(聰明)하고 성질은 급한 편이며 초년에는 여러 가지 일이 자신이 바라던 대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독선적이고 이기적인 행동이 나타나서 일을 주도하는편이며 대기만성(大器晩成)하는 사람이 많다.
망종(芒種)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9번째 절기이다. 이날부터 오월 월건(五月月建)이 시작이 된다. 그리고 양력으로 매년 6월 6∼7일 사이에 든다. 모내기를 시작하고 보리가 누렇게 익으며 더위가 시작되는 때이다.
명리학(命理學)
명리학은 다른 말로 사주팔자(四柱八子)를 보는 법이다. 자기가 출생한 생년월일시를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학문이다.
명리학을 다룬 서적은 주로 아래와 같다.
당사주(唐四柱). 명리정종(命理正宗). 연해자평(淵海子平). 삼명통회(三命通會). 하락리수(河洛理數). 자평진전(子平眞詮).
적천수(適天髓). 궁통보감(窮通寶鑑). 자미두수(紫薇斗數). 오조결(五條訣). 조화원략 등 상당한 많은 서적들이 있다.
목극토(木剋土)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나무는 위로 성장하면서 흙으로 뿌리를 내리지만, 흙은 뿌리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극(剋)의 관계이다. (사주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목생화(木生火)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나무는 불을 만들기 때문에 목(木)은 화(火)를 생하게 하는이치이다. (사주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목욕(沐浴)
목욕은 함지(咸池)또는 패지(敗地)라고 하며 색욕(色慾)과 구설(口舌)에 휘말린다고 하여 흉(凶)한 별로 생각한다. 사주(四柱)에 목욕이 있으면 일명 도화(桃花)살 이라고 하며, 사치(奢侈)와 허영(虛榮)을 좋아하고 주색(酒色)을 좋아한다. 사주(四柱)의 구성이 좋으면기술(技術), 예술(藝術), 문장(文章)이 우수하다.특히 여성에게는 색정(色情)의 신(神)이라 하여 주색과 색난으로 망신을 당한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목화상관(木火傷官)
갑기일(甲乙日)生이 사오미(巳午未)月에 생하거나 사주 가운데 丙丁巳午가 있으면 목화상관이 된다. 사주가 木火로 대부분 차지하면 건조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庚辛 관살이나 壬癸 인성으로 윤습(潤濕)해 주어야 길하다고 한다.
묘(墓)
묘는 장신(葬神) 또는 창고(倉庫)나 묘지(墓地)라고 하며 축적(蓄積)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사람이 죽어서 관(棺)속으로 들어가는 격이라 폐쇄(閉鎖)적이고 융통성(融通性)이 결여 된 것으로 본다. 침착하고 내성적이며 재물(財物)에 대한 집착심이 강하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묘목(卯木)
묘(卯)는 오행의 목(木)에 해당되니 나무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地支 순번은 4번째이다. 절기로는 중춘(仲春)인 二月인데 짐승의 이름은 卯를 토끼라 한다.
묘미합(卯未合)
亥卯未가 三合이나, 卯가 未만 만나도 반합(半合)이 된다.
("반합" 참고,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묘술합(卯戌合)
卯와 戌은 六合이 된다.
("육합" 참고)
묘신원진(卯申怨嗔)
卯와 申. 즉 토끼와 원숭이는 서로 원진(怨嗔) 관계가 된다.
("원진" 참고)
묘오파(卯午破)
지지(地支)의 묘(卯)와 오(午)는 서로 파(破)한다.
("파" 참고)
묘유상충(卯酉相沖)
卯와 酉는 서로 충(沖) 한다.
("충", "간충", "지지상충" 참고
묘유충(卯酉沖)
卯와 酉는 서로 충(沖)이 된다.
("묘유상충" 참고)
무계합(戊癸合)
戊와 癸가 만나면 합(合)을 이룬다.
("합" 참고)
무정지합(無精之合)
戊와 癸가 간합(干合)을 이루어 오행은 火로 변한다. 이 합을 무정지합(無精之合)이라 한다
무토(戊土)
무(戊)는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아무 환경이나 적응 능력이 우수하다. 심지가 깊고 신의가 강하며 효도하는 마음이 깊다. 자기중심이 강하고 직장이나 가정에 충실하다. 실속이 강하고 손해보는 일은 안하며 아첨을 싫어한다.
미토(未土)
미(未)는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未는 十二支 순서로 8번째로 六月에 해당한다. 띠로는未를 양이라 한다.
'命理用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 용례 (차,파,타,하) (0) | 2006.10.24 |
---|---|
명리 용례 (아,자) (0) | 2006.10.24 |
명리 용례 (바,사) (0) | 2006.10.24 |
명리용례 (가) (0) | 2006.10.24 |